■ 쇼크(Shock)
● 쇼크의 정의
- 조직으로의 부적절한 관류(inadequate perfusion of tissue)인해 발생하는 증후군.
- 평균 동맥압이 60mmHg 이하로 불충분한 조직관류가 발생하는 상황.
조직으로 가는 혈액과 산소의 농도가 감소 -> 세포 기능장애, 염증매개물질의 증가 -> 세포손상
● 쇼크의 분류
- 저혈량성 쇼크(hypovolemic shock): 혈액손실, 혈장손실
- 심인성 쇼크(cardiogenic shock): 심근경색, 기흉, 심낭압전
- 신경인성 쇼크(neurogenic shock): 척추손상
- 혈관성 쇼크: 내재성 or 외재성 혈관활성 매개물질에 의해. SIRS, sepsis, anaphylaxis
1. 저혈량성 쇼크(hypovolemic shock)
1) 원인: 탈수(구토, 화상, 복막염), 출혈 등
2) 임상 양상: 불안(anxiety), 흥분, 의식변화, 호흡곤란 등
- 맥압(pulse pressure)감소: 보상성으로 혈관이 수축하여 이완기 혈압이 증가하기 때문
- 빈호흡(tachypnea), 청색증(cyanosis), 빈맥(tachycardia), 소변량 감소가 일어날 수 있음
3) 치료
- 원인 제거(e.g. bleeding control) m/i
- 출혈량 적으면 수액요법 등 소생술로 회복 가능
- 보상 단계 넘으면 수액에 반응하지 않음 → 최단시간 내에 ‘수혈’을 통한 혈장량 회복 및 출혈부위 치료가 필요
- 소생술에도 불구하고 쇼크가 지속되면 ‘활동성 출혈’을 시사
(Referfence; Courtney M. Townsend, et al., Sabiston textbook of surgery, 19th, ELSEVIER, 2012.)
2. 심인성 쇼크(cardiogenic shock)
1) 정의
- 폐동맥 쐐기압 > 18mmHg
- 심박출 계수 < 2.2
- 저혈압
2) 원인
- 내인성(myocardial infarction, arrhythmia, cardiomyopathy, cardiac valve problems)
- 외인성(cardiac tamponade, 폐 색전증)
3) 진단: 임상소견(cool skin, 경정맥 팽창, etc.) + EKG, Echo
4) 치료
- 수액: 폐부종이 없다면 hypovolemia를 교정하기 위해 수액공급
- 승압제: dopamine, dobutamine
3. 신경인성 쇼크(neurogenic shock)
1) 기전: 교감신경 차단이 핵심 병리
- 혈관 긴장도 조절능력 상실 → 말초혈관 저항 감소
- 심박동수 및 심박출량 증가기능 소실 → 심박출량 감소
- 부신 수질에서 카테콜라민 분비 장애
2) 임상양상
- 척추손상을 시사하는 운동, 감각 증상 보임
- 저혈압에 ‘서맥이 동반’
- 따듯한 사지: 말초 혈관 수축이 없어서 발생
3) 치료
- 수액요법으로 혈장량 증가
- 일부에서 혈압상승제 필요: dopamine, norepinephrine
- Trendelenburg’s position: 머리가 아래로, 발이 위로 올라가는 자세 → venous return↑
4. 폐혈성 쇼크(Septic shock)
1) 정의
- SIRS (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): 아래 4가지중 2가지 이상 만족
① Temperature (core) >38°C or <36°C
② Heart rate >90 beats/min
③ Respiratory rate >20 breath/min or PaCO2 <32 mmHg
④ WBC >12,000 cells/mm3 or <4000 cells/mm3 or >10% immature (band) cells
- Sepsis: SIRS + infection focus
- Severe sepsis: Sepsis + organ dysfunction과 hypoperfusion
- Septic shock: Severe sepsis + 소생을 위한 IV fluid infusion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
or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inotropic agent나 vasopressor가 필요할 때
2) 치료
- O2 delivery와 consumption의 적절한 레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
- 혈액량을 증가 시키고 필요하면 수혈을 한다
- 이와 같은 경우에도 관류가 유지되지 않으면
- Inotropic drug (dopamine)과 vasoconstrictors(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)을 사용
- 감염이 있는 경우 광범위 항생제 사용
- 필요한 경우 감염원에 대한 적절한 수술(Surgical debridement and drainage)시행
- 이차 감염에 대한 예방을 적절히 시행
- 조기에 영양지원(early nutritional support)을 시행
: 25-30 kcal/kg/day including 1.5-2.0 gm/kg/day of protein
'Medicin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g bite (개 교상, 개 물림) (0) | 2022.11.27 |
---|---|
정상 동맥혈 및 정맥혈 가스분석 소견(ABGA & VBGA) (0) | 2016.01.07 |
수액치료의 역사(History of fluid therapy) (0) | 2016.01.01 |